2010. 4. 25. 00:26

요즘 말라위항이 난리가 아닙니다.

(다람쥐4,바나나3,골드제브라2,아세이5... 음부나만 14마리)

 

그동안 참 평화로왔었는데... 얼마전엔 안보는 사이에 아세이들이 집단 난투극을 벌였었는지...

온통 상처투성이였구요...

그다음엔 바나나 한마리가 다른 바나나에게 쫒기다가 거의 삶을 포기하고 물 표면에 둥둥 뜨는 사태가...

지금은 아세이 상처도 낫고, 바나나도 그럭저럭 회복하였는데... 

오늘은 골든제브라 암놈이 숫놈에게 심하게 다구리 당하더니... 거의 복어가 되어가네요 ㅜㅜ;

 

 

언뜻보기엔 둘이 사이가 좋아보이지만... 우측놈이 숫놈입니다. 요즘 어항 전체를 장악하려고 시도하는듯...

 

 

덩치로는 2,3등쯤 되는데...

원래 서열1위였던 다람쥐가 덩치가 점점 밀리면서 요즘 별로 수조 장악을 못하는 듯 합니다.

덩치큰 아세이,골든제브라,바나나... 의 삼국시대가 열리는듯 하기도 하구요...

 

 

덩치로는 1위 아세이. 등핀 색상이... 뒷쪽만 노란색이고 앞은 메탈 색 비슷하게 나면서 정말 멋집니다....만 사진은... 똑딱이의 한계...ㅜㅜ

 

 

조금 더 등핀이 잘 보이는 사진입니다. 아침에 골든제브라랑 한바탕 겨루더니 몸에 상처가 난 듯 하네요...

 

 

바로 옆의 45큐브 수초항 입니다. 이끼 닦아낸김에 한번 찍어봤어요.

무성하던 자와모스 몽창 뜯어내고... 발리스네리아 번식력이 너무 강해서 다른 놈들이 못자라는 것 같아서 전부 뽑아버리고...

중후경은 전부 뽑아내고 다시 심었습니다. 벌써 꽤 무성하게 자랐네요. 암브리아도 이쁘게 자라는거 같구요...

 

 

펄그라스 잎이 이렇게 큰지... 오랜만에 보았습니다. 아무래도 고압이탄의 효과인듯....

자작이탄 쓸때보다 잎이 두배정도 큰거 같아요. ^^;;;;

 

 

마지막으로...

알비노안시 숫놈.

굴속에 쳐박혀서 나오질 않습니다. 후레시 키고 한장 찍어봤더니... 역시나 바글바글... ^^;;

(어휴... 저 시커면... -붓이끼이던가요...?)

 

 


Posted by 난치병
2010. 4. 24. 23:38

원본 : http://www.cichlid-forum.com/articles/naming_cichlids.php

글쓴이 : Marc Elieson
번역일 : 2008. 11. 26
번역 : 난치병
 
 
In this article I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cichlid fishes, how they are classifed, how a name is often chosen, and then a few pointers on how to pronounce these odd names.
 

이 글에서 시클리드라는 물고기들의 특징, 어떻게 분류되었고, 이름이 선택되었으며, 이상한 이름들을 발음하는 몇가지 포인트들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WHAT ARE CICHLIDS(시클리드란?):
 

Before we begin talking about how Cichlids get named, we need to first define what a Cichlid is. A Cichlid (pronounced "sick-lid") is a fish belonging to the family Cichlidae, which has over 85 genera and upwards of 1,500 different species. Cichlids are so numerous, in fact, that they constitute 5% of all vertebrate species! Crudely, Cichlids are characterized as freshwater, perchlike fishes that have a laterally flattened body, with spines in the dorsal and anal fins, have only a single nostril on each side, have a divided lateral line, and lack a subocular shelf. Cichlids belong to the perch order, Perciformes.
 

시클리드라는 이름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이야기하기 전에 시클리드에 대한 정의를 해볼 필요가 있다. 시클리드는 1,500개가 넘는 종을 포함한, 85개 이상의 속(屬)을 포함하는 Cichlidae 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사실, 시클리드는 척추동물의 5%를 구성할만큼 매우 방대하다. 노골적으로 말해서 시클리드는 등지느러미와 항문쪽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양쪽에 콧구멍이 있으며, 나누어진 옆줄을 가지고, 눈꺼풀이 없는, 측면으로 평평한 몸통을 가진 민물고기를 특정짓는다. 시클리드는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As already mentioned, all Cichlids are freshwater fish, and are found in many parts of the world. In the Americas, they are found from as far north as Central Texas and reach all the way south to Argentina. They are also found throughout the Rift Lakes of Africa, Lake Victoria, and the surrounding rivers, as well as parts of the Middle East. There are also Cichlids along the coast of India and on the islands of Madagascar, Sri Lanka, and the West Indies.


이미 언급했듯이, 모든 시클리드는 민물고기이고, 세계의 여러곳에서 발견된다. 미국의 경우 북쪽의 Cenral Texas 부터 남쪽 Argentina 에 이르기까지 살고 있으며. 아프리카의 Rift 호수, Victoria 호수 그리고 주변의 강들과 중동의 일부에서도 발견되며, 인도의 해변을 따라 그리고 마다가스카르의 섬들, 스리랑카, 서인도제도에도 살고 있다.


While many beginner hobbyists may be more familiar with the New World Cichlids (e.g., Angelfish, Oscar, Jack Dempsey, Discus, Rams, etc.), the majority of Cichlids, however, live in the African Rift Lakes ? Tanganyika and Malawi ? and the rivers, swamps, and lakes of the Lake Victoria Basin.

 
새롭게 물고기에 취미를 갖는이들은 New World 시클리드(엔젤, 오스카, 잭뎀프시, 디스커스, 램즈 등)에 보다 쉽게 접근하게 된다.

 

CICHLIDS, EVOLUTIONARILY (시클리드의 진화):


Cichlids form a monophyletic group; in other words, they all descend from a single common ancestor. This common ancestor, it is believed, emigrated from the sea to the brackish waters of the land of Gondwana (the former southern supercontinent) before its breakup more than 150 million years ago. Over time, these brackish waters underwent an evolution of their own until they reached their current freshwater state. It was in these waters that this ancient salt-water predecessor evolved into the more than 1,500 different Cichlid species.


시클리드는 단일종족이다. 다시말하자면 이들 모두는 같은 조상으로부터 내려왔다. 이들의 조상은 150만년전 곤드와나대륙(지질 시대에 남반구에 있었다는 가설상의 대륙)이 붕괴되기 전에 바다에서 약간 소금기가 있는 물로 이주했다고 믿어지고 있다. 오랜시간에 걸쳐 이 약간 소금기가 있는 물들은 현재의 민물상태에 이르기까지 진화해 왔다. 이 고대의 소금기 있는 물에서 살던 종족이 1500여 시클리드 종으로 진화해 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Cichlids have been highly successful, evolutionarily speaking, displaying great diversity in size, coloration, and ecology. The many Cichlid species have also developed especially unique and specialized behaviors,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feeding and breeding. For example, many Cichlids are active predators, while others eat plants or insects. And yet others eat the scales of other Cichlids, steal the eggs right out of mouthbrooding females’ mouths, or scrape algae off of rocks or comb it from off of plants.


 

진화론적으로 말해서 시클리드는 몸의 크기, 색깔 그리고 생태학적으로 대단히 다양하게, 매우 성공적으로 진화했다. 다수의 시클리드종은 먹이와 번식환경에 따라 특이하고 특성있게 발전하였다. 예를들어 많은수의 시클리드종은 활동적인 포식자(육식)들이고 다른종은 식물이나 곤충을 먹으며, 또다른 종은 다른 크기의 시클리드를 먹고, 마우스브리더인 암놈의 입에서 빠져나온 알들을 훔쳐먹거나, 바위나 식물에 붙은 이끼를 먹는다.


These different feeding specializations, habitat preferences, and colorations (in addition to their internal and external physical characteristics) aid researchers in their efforts to categorize Cichlids into genera and species. Ultimately, however, Cichli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with common ancestors (phylogenetics). This is by no means an easy task. "At present, however, we still understand very little of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se fishes, and so they are still classified more or less intuitively. . . . By some estimates, only half of all Malawi cichlid species [, for example,] have even been named and described, let alone understood in terms of phylogeny."
 

이들의 내외부적인 물리적 특성들과 더불어 이러한 먹이, 주거 환경 그리고 색상은 연구자들이 시클리드를 속(屬)과 종(種)으로 분류하는데 도움을 주었지만, 궁극적으로 시클리드는 계통발생학적으로 그들의 선조와의 혈연에 의해 분류되었다.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현재는, 이들 물고기들간의 계통발생학적 연관관계에 대해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서 직관적으로 분류되고 있다...   추측하기로는 (예를들어)모든 말라위 시클리드종중 겨우 반수정도가 계통발생학적으로 이해되었으며, 명명되고 묘사되었다. "

 

CLASSIFYING CICHLIDS (시클리드 분류하기):


The earliest scientific descriptions of African Cichlids came about from the work of the British ichthyologist C. Tate Regan in 1922, who divided the then known 84 species from Lake Malawi into 15 genera. Since that time, scientists have discovered and attempted to classify thousands of other Cichlids, erecting more genera as they have learned more about Cichlids’ ancestral relationships and morphological as well as ecolog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has left Cichlid taxonomy in a constant state of flux, and consequently, many previously classified fishes are given new names as they are placed within a new genus or given their own species classification - all resulting in a confusing array of Latin names. This brings me to my next point: names.
 

아프리칸 시클리드의 최초 과학적인 기술은 1922년 영국의 어류학자인 C.Tate Regan 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말라위 호수의 시클리드를 15속(屬)과 84종(種)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과학자들은 시클리드의 시조와의 연관성, 행태학과 생태학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연구에 따라 더 많은 종을 확정했고, 수천의 시클리드들을 발견하고 분류했다. 이는 시클리드 분류법의 흐름을 바꾼 것으로, 이미 분류되었던 많은수의 물고기들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되어 새로운 이름을 얻거나, 라틴 이름들의 나열로 이루어진 어리둥절한 이름으로 자신의 종분류를 얻게 되었다. 이것이 내 다음 요점을 적게 만들었다. : 이름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Beginning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 Swedish scientist and physician by the name of Carl von Linne devised a universal system to classify all living beings: the Systema Naturae (or Nature’s System). In an effort to make his new system of classification universal, von Linne chose Latin as the language whereby subjects would be categorized. Latin was widely accepted as a language of the educated, the sciences, and history, even though it was a dead language. True to his own system, von Linne latinised his name to Linnaeus. This act was only a foreshadowing of what was yet to come: Many of the so-called “Latin” names really aren’t Latin, but rather are words or names that have been borrowed from other languages (primarily Greek). These borrowed words are then latinised by being given a Latin suffix. This hybridization of Latin and Greek (or English, or German, or any other language) to form genus and species names holds true to some extent within the family Cichlidae, just as it does for almost all categorized living creatures.
 

18세기 중반을 시작으로, 스위스의 Carl von Linne 이라는 이름의 과학자이자 의학자가 모든 살아있는 것들을 분류하는 보편적인 시스템을 고안해냈다. 이 시스템은 Systema Naturae (or Nature’s System) 이라고 불리운다. 새로운 분류법을 보편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하여 그는 주제들을 분류할때 라틴어를 선택하였다. 라틴어는 사장된 언어이지만 교육, 과학, 역사에 널리 쓰이고 있었다. 자신의 시스템에 맞추어 자신의 이름도 라틴어로 Linnaeus 라고 기술했다. 이러한 행동은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한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많은수의 소위 "라틴" 이름들은 실제로 라틴어가 아니었고 다른 언어(주로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것들이었다. 이러한 차용된 이름은 라틴어 접미사를 붙여서 라틴어인것처럼 기술되었다. 이러한 라틴어, 그리스어(또는 영어, 독일어 또는 다른 언어들)의 혼합이 속 과 종을 이루는 -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의 분류에 그랬듯이 - 시클리드과의 일정범위에 적용되었다.

 

PICKING A NAME(이름고르기):


In the early days of cichlid discovery and naming, family differences often were not well understood, and resemblances of a newly discovered genus to a familiar old favorite (even in an unrelated family) were often used in constructing a name for the new one. Note this is still done. Take for example, the many genera that use -chromis as a suffix (e.g., Champsochromis, Labidochromis, Haplochromis, etc.). Often times -chromis is used in reference to the closely-related, salt-water damselfish (genus Chromis). Other scientists, attempting to give names more practical meaning however, have employed the use of -chromis, without intending reference to the damselfish but rather because of the Greek root’s meaning: "color" or "colorful."


시클리드가 발견되고 명명되던 초기에는 과 의 서로 다른점들을 종종 이해할 수 없었고, 새롭게 발견되는 종의 유사성 이전의 흔한 (관련이 없는 과 이더라도) 종의 이름이 새 이름을 정하는데 사용되곤 했다. 요즘도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많은 종들에 -chromis(Champsochromis, Labidochromis, Haplochromis, 등) 접미사가 사용된다. 종종 -chromis 는 해수어 담셀피쉬(Chromis 속)와 근접한 레퍼런스로 사용된다. 그러나 좀더 실질적인 작명을 시도하는 다른 과학자들은 담셀피쉬의 레퍼런스를 지향하는것 보다는, 그리스어 어원이 "색상" 또는 "화려한색상"이기 때문에 좀 더 실질적인 이름을 짓는데 -chromis 를 채용하려한다.


This was certainly the case for the genus Haplochromis, which means simple-color or single-color. Many of the early Haplochromines exported from Lake Malawi prior to 1970 were the large, monochromatic predators. Not to mention that taxonomists classifying these fish were looking at months- or years-dead, preserved and faded specimens. Dimidiochromis also, has been so named for the single horizontal line that bisects its flank.


이러한 경우는 Haplochromis(단순한 색상 또는 단일색상 이라는 뜻) 속 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초기(1970년 이전) 말라위호수에서 전파된 다수의 Haplochromis 들은 덩치가 큰 단색의 포식자 들이었다. 분류학자들이 몇개월 또는 몇년간, 유지되고 사라져간 표본들에 대하여 이 물고기들을 분류하였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Dimidiochromis 역시 이런식으로 이름지어 졌는데, 옆구리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단일선을 가진 물고기들에게 명명되었다.
 
In addition to chromis, another Latin root we find used a lot to describe the various Cichlid genera is tropheus, which means "feeding." To my knowledge, all ?tropheus compounds have been named in referenc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Lake Tangayika genus Tropheus. Tropheus species were named such because their specialized teeth were such an obvious feeding adaptation. Then came the Malawi genus Pseudotropheus (meaning false tropheus), who looks a lot like Tropheus, but hales from a different lake. Later, Labeotropheus was classified and named accordingly because its appearance was somewhat of a combination of Tropheus and a Labeo minnow.


chromis 에 대해 추가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우리가 찾아낸 다른 라틴어원인 tropheus 는 많은 시클리드 속을 묘사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먹이를 주다"라는 뜻이다. 내가 알기로는 모든 tropheus 합성어는 직간접적으로 탕가니카 호수의 Tropheus(트로페우스) 속 을 명명하는 레퍼런스로 사용되었다. 트로페우스 종 들이 이렇게 이름붙여진 이유는 그들의 특별한 치아가 그렇게 뚜렷한(?) 먹이적응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seudotropheus (틀린,잘못된 트로페우스 라는 뜻) 는 트로페우스와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호수에서 나온 속 이다. 이후에 Labeotropheus 가 명명되었는데, 이들은 마치 트로페우스와 Labeo 속의 작은 물고기를 조합해 놓은것처럼 보여서 이렇게 이름지어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Another tropheus compound was erected in 1972, Iodotropheus. In this instance, Oliver and Loiselle were not really trying to compare the "Rusty Cichlid" to Tropheus itself, but just to underscore its similarity to the other Malwi ?troheus genera, which were now an established stem in their own right. Furthermore, Iodo-, from the Greek root "iodes," as in iodine, can mean both the color of iron rust and a lavender color; Rusties have both colors.


Iodotropheus 라는 다른 트로페우스 합성어가 1972년에 나타났다. 이 경우엔 Oliver 와 Loiselle 가 "Rusty Cichlid" 를 트로페우스에 비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다른 말라위 트로페우스 종과 다르다는것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그리스 어원으로 lodo- 는 쇠녹 색상 그리고 라벤다 색을 뜻한다. Rusty Cichlid 들은 두가지 색상을 모두 가지고 있다.
 

While genus names tend to be thoughtfully given, this is not always the case for the naming of species. Species can be named for any number of things, including the discoverer, a friend of the discoverer, a specific trait unique to the fish, or its location within the lake. Let’s look at some examples.


속 의 명칭이 신중하게 결정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종 의 이름을 결정하는데도 항상 그랬던 것은 아니다. 여러 종들이 발견자의 이름이나 발견자 친구의 이름, 그 물고기만의 특징이나 호수같은 지역이름으로 붙여졌다. 그 예를 보자.


Aulonocara baenschi was named for Dr. Ulrich Baensch, founder of TetraWerke, the German fish-food and aquarium products company; Pseudotropheus demasoni was named for Laif DeMason, the well-known fish importer; Labeotropheus trewavasae was named for Ethelwynn Trewavas, who made incredible contributions to our understanding of Lake Malawi Cichlids during the long interval from 1931 through the 1980’s. And then there is Nimbochromis livingstonii:

 
Aulonocara baenschi 는 독일의 물고기 사료 그리고 수조용품 회사인 TetraWerke 의 Ulrich Baensch 박사에 의해 이름붙여졌다. Pseudotropheus demasoni 는 잘 알려진 수입업자인 Laif DeMason 의 이름을 땄다. Labeotropheus trewavasae 는 1931년 ~ 1980년 까지 말라위 호수의 시클리드를 이해하는데 대단한 공헌을 한 Ethelwynn Trewavas 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그리고 Nimbochromis livingstonii(리빙스토니) 도 있다.


On more than one occasion I have heard it stated that N. livingstonii was named for its unique hunting technique. When hungry, this fish will sink to the bottom of the lake, particularly the rocky areas, where it lies motionless on its side. Small, unsuspecting fish are drawn to it, thinking they’ll find a quick snack from a dead fish, only to discover that they have become the "quick snack." No, N. livingstonii does not mean "living stone," even though it plays dead among the rocky areas of Lake Malawi. Instead, N. livinstonii was named after its discoverer, Dr. Livingston.

 
한번 이상, 나는 N. livingstonii(리빙스토니) 가 그들의 특이항 사냥 기술로 이름붙여졌다는 것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들은적이 있다.  배가 고프면 이 물고기는 바위지역의 호수바닥에 가라앉아서 옆으로 누워 움직이지 않고 있다. 작고 의심하지 않는 물고기가 가까이오면 그들이 "즉석식품"이 되어있다는 것을 발견하는 순간 죽은듯한 물고기의 즉석 간식거리가 되고만다. N. livingstonii 가 'living stone(살아있는 돌)' 을 뜻하는 것은 아니나, 리빙스토니는 말라위 호수의 바위들 사이에 죽은척 연기를 한다. 하지만 N. livinstonii 는 그의 발견자인 Livingston 박사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
 

Somewhat of a confusing name (for paradoxical reasons) is that of the "Electric Yellow." This morph that is so popular today was only recently discovered (about 15 years ago).


어쨋거나 모순되고 어리둥절한 이름은 "Electric Yellow(바나나)" 이다. 오늘날 꽤 유명한 이 생물은 약 15년전에 발견되었다.
 

The species L. caeruleus was first identified in 1956, however, by Fryer. He described this fish as normally being white, with a black stripe through the dorsal fin, which would become a pale blue cast in breeding males. In fact, this species was named caeruleus (meaning "blue" in Latin) for this very reason. It seems possible that the "Electric Yellow" is just a locally occurring xanthic color variant of L. caeruleus, belonging to Mbowe Island and Lion's Cove. It also seems likely that it may receive it's own species classification, distinct from the more abundant blue and white colored variants.


L. caeruleus 종 은 1956년에 Fryer 에 의해 처음 분류되었다. 그는 이 물고기를 일반적으로 등핀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 흰색으로 묘사했다. 이놈은 사육될 경우 숫놈은 옅은 파란색이 된다. 사실 이 종은 이런 이유로 라틴어로 "파란색"이라는 의미를 가진 caeruleus 라고 명명된 것이다. "Electric Yellow" 는 Mbowe 섬의 Lion's 만에 나타나는 L. caeruleus 의 단지 지역적인 황색 칼라 변종이라 할 수 있었다. 이들은 푸른색과 흰색을 지닌 생물들과 구분되어, 새로운 종 분류될 수도 있을것 같다.
 

In addition to naming species for someone or for a trait particular to that fish, there are numerous color morphs in each genus, and although some are more closely related than others, many have not been formally described, and it remains to be determined whether they are different only in their coloration or actually a separate species. These different color morphs are usually named after the place they were first collected (e.g., Lions Cove, Likoma Island, Otter Point, Nkhata Bay, etc.). This is the case for Labidochromis sp. "Hongi Island" and Cynotilapia sp. "Mbamba."

 
어떤 생물들 또는 특별한 어떤 물고기들(이전에 기술되지 않은, 서로 매우 유사성을 가지고 있지만, 수많은 색상형태를 가진 속 들)이 단지 색상이 다른 것인지, 종 이 다른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이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그들이 처음 채집된 장소 뒤에 이러한 색상의 형태를 붙여서 명명했다. (예: Lions Cove, Likoma Island, Otter Point, Nkhata Bay, 등) Labidochromis 종 인  Labidochromis hongi 는 "Hongi Island"(역주:말라위호수의 섬이름) 에서, 그리고 Cynotilapia 종 인 Cynotilapia afra Mbamba 는 "Mbamba."(역주:말라위호수의 연안이름) 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A couple of points should also be made, which without clarification, might make matters undecipherable. In naming Cichlids, if some question exists as to the identity of a particular species, the designation "cf." is used before the species name. This indicates that it is either closely related to should be compared with the Cichlid in question. Any genus name with quotes indicates that the species will likely be placed into a newly erected genus upon further scientific analysis.

 
명확하지 않고 게다가 판독할 수 없는 두서너 의문들이 있다면, 시클리드의 이름을 붙일때, "cf."(비교,참조) 라는 호칭이 종의 이름 앞에 사용된다. 이것은 의문점이 있지만 어떤 시클리드와 비교되는 근접함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속 이름에 인용부호(따옴표)가 붙으면 이들이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된 새로이 채택될 속 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NUNCIATION(발음):


Now on to perhaps the most practical portion of this already lengthy article: how does one go about pronouncing these names? Well, I’m glad you asked. Let’s start with suffixes first. The two most common endings are -ae and -i (or -ii). When a fish is named for a female, the ending -ae is given, whereas if the fish is named for a male, then the ending -i (or -ii) is given. -ae is pronounced "ee," whereas "-i" is pronounced "eye." The next thing to do if the fish has been named for a person is to learn how to pronounce the person’s name in its original language and then add the Latin suffix. So, for example, jacobfreibergi would be pronounced "yacob-fryberg-eye," demasoni would be pronounced "dee-mason-eye," and saulosi "sau-los-eye."


이미 다른 글(how does one go about pronouncing these names-이들의 이름을 어떻게 발음하는가)에서 다루었지만, 이런 질문은 환영한다. 접미사부터 시작해보자. 가장 흔한 접미사는 -ae, -i (또는-il) 이다. 여성의 이름이 붙여진 경우 -ae로 끝나고, 남성의 이름이 붙여진 경우 -i(또는 -il)로 끝난다. -ae는 "ee"(이~) 로 발음되고, -i 는 "eye"(아이)로 발음된다. 사람의 이름으로부터 기인한 이름들은 그 사람 이름이 원래의 언어로 어떻게 발음되는지, 그리고 라틴어 접미사가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예를들어 jacobfreibergi 는 "yacob-fryberg-eye,(야콥-프라이버그-아이)", demasoni 는 "dee-mason-eye,(디-맨손-아이)", 그리고 saulosi 는 "sau-los-eye.(소-로스-아이)" 로 발음된다.


1. Oliver, M.K.  How are Malawi Cichlids Classified?


2. Oliver, M.K., and P.V. Loiselle. 1972. A new genus and species of cichlid of the mbuna group (Pisces: Cichlidae) from Lake Malawi. Revue de Zoologie et de Botanique Africaines 85: 309-320.

 



후... 이번 번역은 정말 오래 걸렸습니다.
학술적인 용어들도 많이 나오고 해서 어려웠네요 ㅜㅜ
번역을 할수록 번역실력이 줄어드는 듯 하니... 우째야 합니까... ㅜㅜ;;;

잘 이해가 안되서 얼렁뚱땅 넘어간 부분도 있습니다.
좀 이상하다 싶은 부분은 원문을 참조하세요. ^^;;;
그래도 이해가 안되시면 원저자인 Marc Elieson 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이름밖에 모른다는거!^^;;;;)

'malaw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드임프레스  (0) 2010.04.25
분양갈 아세이 유어들  (0) 2010.04.25
말라위항 근황 등  (0) 2010.04.25
Reducing Aggression in Cichlids(시클리드의 공격성 감소시키기)  (0) 2010.04.24
Haps Vs. Mbuna (Malawi Cichlid groups)  (1) 2010.04.24
Posted by 난치병
2010. 4. 24. 23:36

원본 : http://www.cichlid-forum.com/articles/reducing_aggression.php

글쓴이 : Marc Elieson
번역일 : 2008. 9. 30
번역 : 난치병

The first thing a new hobbyist probably hears about African cichlids is "Beware, these are mean, mean fish." Cichlids in general are aggressive by nature. There are a few exceptions (and these should not be kept with the tyrants). This warning is justified. Cichlids' aggressiveness can be daunting and even discouraging if it is not controlled. Too many new beginners fall into despair as one cichlid annihilates the others. Well, there's good news: cichlid aggression can be ameliorated and controlled - to some extent.

 

처음 취미를 가지게 되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시클리드에 대해 듣게 되는 이야기는 "Beware, these are mean,mean fish(조심해, 이놈들은 비열한 물고기야" 이다. 시클리드들은 소수의 예외(그리고 이들은 폭군과 함께 키워서는 안된다.)를 제외하고는 본능적으로 공격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러한 경고는 당연하다. 시클리드의 공격성을 조절해주지 않으면 - 시클리드를 키우는데 - 기가 죽거나 아예 의지가 꺾일 수도 있다. 너무 많은수의 초보자들이 시클리드가 다른 시클리드를 죽이는 것을 보고 크게 낙담한다. 자, 여기 좋은 소식이 있다 : 시클리드의 공격성은 어느정도 개선하고 조절할 수 있다.

 

The number one cause for aggression between fish is food-related. You can ease aggression by feeding your fish less, but more often. By keeping your fish fed throughout the day, they are less likely to feel threatened by a tank mate.

 

물고기간의 공격성의 첫번째 원인은 먹이와 관련이 있다. 먹이를 좀 덜주면서 자주 줌으로써 공격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하루내 여러번에 나누어 먹이를 급여함으로써 물고기들이 수조내의 다른 물고기들에게 위협을 덜 느끼게 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Aggressive cichlids are usually more territorial because they want to stake out their own backyard garden from which to hunt and harvest, and then guard it against intruders. Conspecifics (i.e., similar looking fish) are seen as a threat (because if they are similar, they will compete for the same foods), and are chased off. Therefore, by having fish from a wide variety of species you can cut down on intra-species aggression. In the wild, cichlids live in high density pockets. They're able to do this because they don't all occupy the same ecological niche. Some of these cichlids may hug to the sand, others will stick to the rocks or caves, and then some will cruise the open water. By stocking your aquarium with fish who inhabit different niches, you can reduce inter-species aggression. Also, by giving your fish lots of room to swim, and lots of territories to claim and caves to hide in, you can reduce this aggression.

 

공격적인 시클리드들은 일반적으로 사냥하고 먹이를 얻을 수 있는 세력권을 침입자들로 부터 지키기 위해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려고 한다. 같은종(예:비슷한 외향을 가진 물고기)은 같은 먹이를 두고 경쟁하게 될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쫓겨난다. 그러므로 여러종의 물고기를 함께 키우는것이 종 내부의 공격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야생에서 시클리드는 매우 밀집된 공간에 사는데, 이들이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어떤 시클리드들은 모래를 좋아하고, 다른놈들은 바위나 동굴에 붙어살고, 어떤놈들은 물속을 어슬렁거리며 수영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다른 장소에 대한 습성을 가진놈들을 같이 키움으로 해서 종 간의 공격성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물고기들에게 수영할 충분한 공간을 주고, 충분한 영역과 숨을만한곳을 확보해줌으로써 공격성을 줄일 수도 있다.

 

Temperature plays a large role in a fish's behavior. Warmer temperatures will increase a fish's metabolism, stimulating its aggressive tendencies. (Don't we all get a bit testy when it's boiling outside?) So, by lowering the temperature in your tank, you can ease the aggression between fish.

 

온도는 물고기의 생활습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뜻할 수록 물고기의 신진대사가 촉진되어, 그들의 공격성향이 촉진된다. (푹푹 찌는 날씨에는 인간도 성질을 내게 되지 않는가? ^^;;)  그러므로 온도를 낮춤으로 수조안 물고기들 간의 공격성을 완화 시킬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With few exceptions, males are the more aggressive of the two, and they tend to rough females not interested in mating. For this reason, it is advisable to keep at least 2 females per male for polygamous mouthbrooders. This way his aggression and frustration is not received by just one female but is distributed instead. For those species that form pairs (e.g., Neolamprologus and Julidochromis), it is advisable to only keep a single pair. Lone males and females both are not tolerated by pairs once they have formed.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숫놈이 암놈보다 공격적이며, 짝짓기(교배)에 관심없는 암놈들에게 거칠게 구는 경향이 있으므로 1부다처제의 마우스브리더들에게는 숫놈 한놈에 적어도 두놈의 암놈 비율로 같이 키우는것이 권장된다. 이렇게 하면 숫놈의 공격성과 좌절(짝짓지 못한 좌절감?)이 암놈 한놈에게 집중되지 않고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쌍을 이루는 물고기들의 경우에는 한쌍만 키우는것이 좋은데, 쌍잡지 못한 외로운 물고기들을 형성된 쌍이 너그럽게 보아주지 않기 때문이다.

 

Also, by "crowding" your tank, you can distribute inter-species aggression. Not just one fish is a target of abuse, and aggressors tend to lose victims more easily when the tank is crowded. Just be sure that you "over filter" your aquarium if you are going to "crowd" it. Again, this trick works for most species but there are some that will become more aggressive as a result of crowding, like Neolamprologus brichardi types.

 

수조를 과밀하게 하는 것도 종 간 공격성을 분산시키는 방법이다. 공격자들은 한놈만을 타겟으로 삼지 않고 과밀할 경우에 쉽게 희생양들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과밀로 수조를 꾸려가려면 과한 여과가 필요하다. 이러한 속임수는 대부분의 종에 적용되지만 어떤 종은 과밀하게 되면 오히려 더 공격적이 되는 경우도 있다. (예:Neolamprologus brichardi 브리샤르디)

 

Aggression in cichlids can be stemmed by feeding more frequently. Keeping cichlids that claim different niches of the aquarium is also important in reducing aggression due to territorialness. Aggressiveness can also be eased by keeping the temperature on the low side, thus lowering your fishes' metabolism. And by crowding an aquarium, what aggression is displayed by dominant males is spread out over the group.

 

시클리드의 공격성은 먹이를 자주 주어서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영역때문에 생기는 공격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생활장소를 가진 시클리드들을 함께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 온도를 낮게 유지해주면 물고기의 신진대사를 감소시켜 공격성을 완화시킬 수 있고. 수조를 과밀하게 만들면 숫놈의 공격성을 여럿에게 분산시킬 수 있다.

 

 

--------------------------------------------------

오랜만의 번역이네요. 상면여과기 만들고 수초항 뒤엎구...

이제 다시 차근차근 번역 해보려구요.. ^^

 

처음 말라위를 키울때는 (아직도 얼마안된 초보이지만) 정말 드센 놈들때문에 마음고생도 많이 했었는데요,

역시 길들이기 나름 아니겠습니까? ^^;;

 

시클리드의 공격성이 두려워서 도전하지 못하는 초보분들을 위해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malaw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드임프레스  (0) 2010.04.25
분양갈 아세이 유어들  (0) 2010.04.25
말라위항 근황 등  (0) 2010.04.25
How Cichlids Get Named(시클리드 이름은 어떻게 붙여졌을까?)  (0) 2010.04.24
Haps Vs. Mbuna (Malawi Cichlid groups)  (1) 2010.04.24
Posted by 난치병
2010. 4. 24. 23:13

원본 : http://www.cichlid-forum.com/articles/malawi_bloat.php


 

글쓴이 : Marc Elieson
작성일 : 2008. 7. 27
번역 : 난치병

 

Malawi Bloat is without a doubt the most prevalent disease afflicting aquarium-kept African Cichlids. Despite its prevalence, little is really understood about this disease. In an effort to understand what the experts are saying about it, I have spen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researching this topic. What I have learned is that not everyone is in agreement, but there is some consensus about possible causes, responsible pathogens, and even treatment. What appears below is my attempt to represent the majority view. I begin by presenting the most common symptoms of the disease, its course, and then a description of documented possible causes for the onset of this disease. Following this, I conclude by presenting several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Malawi Bloat(팽창증) 은 의심할 바 없이 수족관에서 키우는 아프리칸 시클리드를 괴롭히는 일반적인 질병이다. 매우 일반적인 질병이지만, 이 질병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낮다. 이 문제에 대해 전문가들의 조언을 이해하려는 노력으로 많은 시간을 소비했다. 모두가 동의하는 바는 아닐테지만 어느정도 의견일치를 본 가능한 원인들, 원인이 되는 병원균(체) 그리고 조치법이 있다. 아래에 적은 내용은 다수의 의견을 정리해 보려 한 것이다. 우선 이 질병의 증후, 진행 그리고 이 질병을 일으키는 보고된 가능한 원인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몇몇 추천되는 예방과 치료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Prevalence (널리퍼짐)

 

I should begin by saying that Malawi Bloat does not only affect fishes from Lake Malawi but also those from Lake Victoria and especially Lake Tanganyika. While all African Cichlids are susceptible to contracting this deadly disease, those that seem most prone are those whose diet consists primarily of vegetable matter. More on possible causes will be discussed below.

 

Malawi Bloat 는 말라위 호수의 어종들 뿐 아니라 Victoria, Tanganica 호수의 어종들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채식을 위주로 하는 모든 아프리칸 시클리드는 이 죽음에 이르는 병에 걸릴 여지가 있다. 발병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래에 다룰 것이다.

 

Symptoms (증후)

 

The first symptom is usually a loss of appetite. Other characteristics follow if treatment if not begun at this point. These secondary characteristics include abnormal swelling of the abdomen (hence the name-bloat), an increased respiratory rate, reclusiveness, white streaky feces, and sitting on the bottom of the tank or lingering at the surface. Red marks around your fish's anus or skin ulcerations might also be apparent (as shown in the picture below). Symptoms only appear in the latter stages of the disea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gin treatment as soon as symptoms are noticed, otherwise you will most likely lose your fish.

 

첫번째 증후는 식욕을 잃는 것이다. 이시점에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복부 팽창, 가파른 호흡, 혼자만 외롭게 있는것, 흰색줄무늬 똥, 수조의 바닥에 기대어 있거나, 표면에 머무르는 등의 두번째 후속 증세를 나타낸다. 항문주위에 붉은 반점이나 피부의 궤양도 나타난다.(아래의 사진에 보이듯) 증후가 보이면 가능한 빨리 치료를 하는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못할 경우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By the time these secondary characteristics appear, extensive damage to the fish's liver, kidneys, and/or swim bladder has probably occurred; therefore, waiting to administer treatment lessens the odds for recovery. After the onset of secondary symptoms, death typically results within 24-72 hours, although I have seen fishes hang on for more than a week in this condition. While it is not unheard of for a fish in this state to recover, I have never successfully recovered a fish already displaying secondary symptoms.

 

두번째 증후가 일어날때 즈음이면 신장, 콩팥 그리고(또는) 부례에 심각한 상처가 발생하므로 치료를 지연하는 것은 회복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번째 증후가 보이면 24~72 시간내에 죽지만 이런 상태로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것을 관찰한 적도 있다. 이 상태에서 치료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못들어본 것은 아니지만, 나의 경우에는 이미 두번째 증후를 나타내면 성공적으로 치료된 적이 없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Responsible Pathogen (원인이 되는 병원균/병원체)

 

This is where most people tend to disagree when it comes to discussing Bloat. Some say it's bacterial in origin and others contend it's caused by a parasite. Notwithstanding the lack of overall agreement, my review of published material has led me to believe that Bloat is induced by a protozoal parasite in most cases.

 

이 질병에 대해 의견통일이 잘 이루어지 않는 부분인데, 일부는 박테리아가 원인이라고 하고 다른 이들은 기생충에 의한 질병이라고 말한다. 모두가 동의하는 바는 아니지만 출판매체들의 내 검토에 의해 나는 대부분의 경우 원생동물 기생충감염에 의한 것이라 믿게 되었다.

 

Most researchers support the view that this protozoan resides in the intestines of healthy fishes, but can proliferate to harmful numbers under stressful conditions. In larger numbers, this parasite will cause blockage of the intestinal tract. This is probably responsible for the fish's lack of appetite. As the parasite grows in numbers, it becomes invasive, moving beyond the intestine by punching holes in its walls - causing the fish to bloat. Note, fish die from Bloat not because they starve to death, but because of the damage inflicted upon their organs as noted above.

 

많은 연구가들이 이 원생동물이 건강한 물고기의 창자에서 발견되지만,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유해할 정도로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기생충이 아주 많아지면 창자를 막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고기들이 식욕을 잃을 수 있다. 이 기생충이 많은 숫자가 되면 창자의 벽에 구멍을 뚫고 나와서 복부 팽창을 일으킨다. 물고기는 굶어죽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영향을 받은 위에 열거한 내장의 손상으로 죽게 되는 것이다.

 

There is also considerable debate as to whether this disease is contagious. My personal feeling is that is. In my experience, Bloat doesn't just claim one victim, but usually three or more. This could be because all of the fish were exposed to the same caustic factor, but I don't think it's that simple. You see, the symptoms don't appear in all the fishes at the same time, but rather sequentially. In other words, fish A doesn't eat on day 1, and on day 2 fish A starts to swell and fish B doesn't eat, and then on day 3 fish B swells and fish C doesn't eat, etc.

 

이 질병이 전염되는가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 내 개인적인 느낌과 경험으로는 "그렇다" 이다. 이 질병은 보통 셋 이상의 희생자를 내곤 했다. 이는 모든 물고기들이 같은 요소들에 신랄하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은것 같다. 알다시피 이런 증세는 모든 물고기들에게 동시에 발생하기 보다는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다시말해 A 가 1일차에 먹이를 먹지 않고 2일차에 A가 팽창하면 B 가 먹지 않고, 3일차에 B 가 팽창하고 C가 먹지 않는 등..

 

Three Main Causes For Bloat (질병의 세가지 주요 원인)

 

1.) Stress. Stress can be caused by many factors, too many to list here. The most common cause of stress is long-term exposure to poor water conditions. This can be due to infrequent water changes, not enough aeration (for the denitrifying bacteria), and overfeeding. All three of these factors lead to elevated nitrate levels in the water. Fish are very good at fighting off disease on their own, but when exposed to poor water condition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y become stressed and their immune system does not function at its optimal level (just as with humans!). Other causes of stress may include catching fish, transporting them, water changes, or an insufficient number of hiding places from tankmates.

 

1.)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열거할 수 없을만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수질이 좋지 않은 물에 장기간 노출될 때인데, 이는 환수를 자주 해주지 않거나, 박테리아가 죽을만큼 에어레이션이 충분치 않거나, 먹이를 너무 많이 주는것에 기인한다. 이 세가지 요소는 수중의 질산염 농도를 증가시킨다. 물고기는 자신의 질병과 잘 싸워 이겨내지만 수질이 악화되어서 스트레스를 받게되면 사람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면역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한다. 다른 스트레스의 원인은 물고기를 잡을때, 이동할때, 물을 갈아줄때 또는 숨을만한 공간이 수조에 충분히 없을 경우에 발생한다.

 

2.) Salt. The addition of large amounts of salt (NaCl) with the intent of simulating a more natural habitat. True, the rift lakes of Africa are alkaline and have very hard water (pH 8.0-8.9, and a General Hardness between 200-400 ppm), but common salt will not alkalinize your tank. What makes water "hard" is a combination of dissolved calcium and magnesium. If you have soft water and need to raise the pH/hardness of your water, there are several appropriate ways to do this. Homemade buffers are easy and very inexpensive. There are also several quality commercial buffers available, such as SeaChem's Cichlid SaltTM. Crushed coral for substrate or the addition of limestone to your tank is also helpful in raising the pH of aquarium water, but because minerals don't stay suspended in water for long, it's important to do frequent water changes. Using any wood is discouraged, as it will only serve to lower the pH of your water, even if its effects are minimal.

 

2.) 소금. 조금더 자연의 환경을 맞추어준다고 소금을 과한량 첨가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아프리카의 호수들은 알칼리성이며 매우 경도가 높다. (pH 8.0~8.9, 일반경도(General Hardness 200~400 ppm) 하지만 일반 소금은 수조를 알칼리성으로 만들지 못한다. 물을 "hard" 하게 만드는것은 녹아있는 칼슘과 마그네슘의 조합이다. 만약 물의 pH/hardness 를 증가시키려면 적절한 몇가지 방법이 있다. 집에서 만드는 완충제는 매우 쉽고 저렴한 방법이다. SeaChem's Cichlid Salt 와 같이 몇몇 품질좋은 상업용 제품들도 나와있다. 산호사나 석회암을 수조에 추가하는 것은 pH를 올리는데 도움이 되지만 광물은 수정에 오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잦은 환수가 중요하다.(?) 나무는 아주 작은 영향이긴 하지만 pH를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3.) Improper diet. Many cichlids - particularly herbivorous ones - have long intestinal tracts, requiring a relativley longer period of time to digest their food. Consequently, it is quite common for these cichlids to develop intestinal problems. The decomposition of improperly digested, or improperly excreted foods can irritate the intestinal wall, and stress the fish, giving the invasive parasite a foothold. This can often come about when a primarily herbivorous, algae-scraping cichlid (like Tropheus or Pseudotropheus spp.) is fed high protein foods such as bloodworms, or pellet and flake foods containing large quantities of fish meal. Slimy or soft foods, such as brine shrimp, should be avoided and replaced with crunchier foods such as mysis. In light of this information, and experience, it is important to avoid certain foods, and to go light on others. (For a detailed discussion of this topic, see Feeding African Cichlids.)

 

3.) 부적절한 식단. 대부분의 시클리드(특히 초식성)는 긴 장을 가지고 있어서 소화하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잘못된 식사는 장의 벽을 괴롭히고, 물고기의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유해한 기생충이 자리잡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초식을 하는, 이끼를 긁어먹는 물고기(Tropheus(트로페우스) or Pseudotropheus 종) 에게 BloodWorms(짱구벌레) 또는 어분이 다량 포함된 사료를 급여하여 발생할 수 있다. 브라인 쉬림프 같이 분말 또는 부드러운 사료는 피해야 하며, 깨물어먹을 수 있는 mysis(갑각류?) 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나 경험에 비추어볼때 몇몇 사료를 피하고 다른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른 토픽에서 자세히 다룬다. 아프리칸 시클리드의 먹이

 

Treatment (치료)

 

Once you notice that your fish has lost an appetite for food (and is not just holding fry in her buccal cavity), you should remove it and begin treatment immediately. There are two effective treatments for Bloat that I know of. The first and most common is Metronidazole (Emtryl or Flagyl), and the second is Clout. The treatment should be preceded by a 30% water change (in an effort to improve water conditions) and increased aeration, followed up with a 50% water change. It is also a good idea to remove any biological filters you may be using, even though these drugs claim they don't harm denitrifying bacteria. The initial 30% water change is not necessary if this is a hospital tank not previously in use. The water change is important partially because you won't be performing water changes for the duration of treatment, not to mention the fact that you have just removed a large percentage of your bacteria. Store your filters in some of the water you removed from the tank prior to treatment.


알을 문 상태가 아닌데 식욕을 잃은 물고기가 생긴다면 즉시 격리해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Malawi Bloat 에 대해 내가 아는 두가지 효율적인 치료방법이 있다. 첫째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Metronidazole (Emtryl or Flagyl : 상표가 아닐지...?) 이고 두번째는 Clout 이다.(역주:치료약의 성분) 치료는 일단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30% 물갈이, 에어레이션을 증가시킨 후, 이어서 50% 물갈이 후 수행한다. 이 치료제들은 박테리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주장하긴 하지만 생물학적 여과필터를 제거하고 치료를 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사용된 적이 없는 치료수조가 따로 마련되어 있다면 초기의 30% 물갈이는 필요 없다. 치료하는 동안 물을 갈아주지 않아야 하고, 많은 퍼센트의 박테리아를 제거하였기 때문에(역주:필터를 제거하였기 때문인지?) 부분 환수는 중요하다. 치료하는 동안 여과필터를 수조에서 덜어낸 물에다 보관하도록 하자.

 

In addition to treating your tank with either one of these drugs, it is also recommended adding an Epsom salt/Table salt mixture to your tank. Mix the two half-and-half, and add a handful of this mixture for every ten gallons of water. Epsom salt is a natural laxative and will help your bloated fish lose some of the water it has been taking on. Epsom salt is very cheap, costing something like $2 for 3 lbs. It can be obtained from any grocery store or pharmacy.


 

이러한 약재를 사용함과 더불어 Epsom salt(황산마그네슘, 엡솜염(塩), 사리염(瀉利塩)(매염제·하제용)) 과 Table salt(Table salt mixture) 를 수조에 혼합 추가할 것을 추천한다. 이 둘을 1:1로 섞어서 10gallon(37.85L) 당 한웅큼 추가하도록 하라. Epsom salt 는 천연의 변비약으로 병에걸린 물고기가 받아들인 물을 소비하도록 도울 것이다. Epsom salt 는 일반적인 상점이나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고, 가격도 1 lbs.(1.36kg)당 $2 정도로 매우 저렴하다. (역주:한국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것인지는...?)

 

If treating with Metronidazole, add 100 mg (about 1 ½ scoops) for every 10 gallons (or 38 L). Repeat this dosage every two days as required. Fish usually heal (if they survive the disease) within a week. You can typically tell when this occurs because the infected fish will regain its apetite. If, on the other hand, your infected fish has retained its apetite, you can easily administer this drug with its food. In a disposable cup, add some water from the tank, a few fish food pellets, and a single measure of the drug. After the pellets have soaked for a few minutes, pour all of the contents of the cup into the tank. When administering this drug, turn off any UV, ozone, or chemical filtration as these disable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medication. Following treatment, perform a 50% water change. SeaChemTM and AquatronicsTM both sell drugs containing Metronidazole, the former being called Metronidazole and the latter being called Hexamit TM

 

Metronidazole 를 처방할때는 100mg 을 10gallons(39L)에 2일간 반복하여 추가하라. 물고기가 병을 이겨낸다면 일주일 이내에 치유가 될 것이다. 치유가 되면 다시 먹이를 먹을 것이다. 만약 병에 걸린 물고기가 아직 식욕을 유지하고 있다면 그 먹이와 함께 약을 쉽게 처방할 수 있다. 컵에 수조의 물을 담고 약간의 사료를 넣은다음 약을 한스푼 투여한다. 사료가 흠뻑 젖으면 컵의 내용물을 수조에 부어라. 처방하는 동안 UV, 오존 또는 화학적 여과기를 중지시켜라. 이런것들은 약효를 발휘하지 못하게 한다. 치료에 이어서 50%의 물갈이를 하라. SeaChem 과 Aquatronics 에서 Metronidazole 을 포함한 치료재를 판매한다. 전자는 Metronidazole 이라는 이름이고 후자는 Hexamit 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Treating Bloat using Clout is also relatively simple. As already mentioned above, before you begin treatment, remove any carbon you might be using in your filters and perform a 30-40% water change. Using a disposable cup, dissolve in some tank water one tablet of Clout per 10 gallons (round up if necessary). Pour the mixture into the tank just a little bit at a time, perhaps taking a half hour to administer a complete dosage -- this drug can be very strong and so it is important to follow this guideline so as not to shock your already stressed fish. Repeat the same dosage for the next two days, again performing a 30-40% water change beforehand. Daily water changes are essential for Clout's maximum effectiveness. The water changes als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old, disabled chemicals. Three days of treatment should be sufficient if the inflammation is not too severe, otherwise treat for a full five days. If after five days, you still don't notice a change, then resume treatment again after a two day hiatus. Once you have concluded the treatment, perform a final water change 24 hours after the last dosage.

 

 

Clout 를 이용하여 팽창증을 치료하는 것도 비교적 간단하다. 위에서 말한것과 마찬가지로 카본 여과재를 제거하고 30~40% 의 환수를 해준다. 컵에 수조의 물을 이용하여 10gallon(38L) 당 1개의 Clout 를 녹여서 30분간에 걸쳐 수조에 조금씩 부어라. (이 약은 매우 독하여 이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물고기들이 쇼크를 받지 않도록 가이드를 잘 따르는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후 이틀간 30%의 물을 갈아주는 것을 반복하고 같은 처방을 하여라. Clout 가 쵀대의 효율을 발휘하도록 하려면 매일 물을 갈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물갈이는 이미 효용성이 없어진 화학물질들을 제거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염증이 심각한 상태가 아니라면 3일간의 치료만으로도 충분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5일간 계속 한다. 치료후에도 차도가 보이지 않으면 2일간 쉰 후 다시 치료를 반복한다. 치료가 끝나면 끝난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후에 환수를 해주어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Both drugs are effective at stopping the spread of Bloat in the tank. CloutTM is a very strong drug that was developed particularly for fish. Most other fish medications have human counterparts including Metronidazole. In my experience, Metronidazole has only been effective at stopping the spread of the disease and not at curing fish already displaying symptoms. CloutTM, on the other hand, has proven somewhat more effective at curing bloated fish. I should warn you, however, that CloutTM will turn the water blue and stain the silicone in your tank, as well as any airline tubing you may have. If you are not careful with it, it will stain anything else it comes in contact with. While it has proven effective for me, I wish I had know what it was going to do to my tank. I still would have used it knowing this, but I just felt gypped afterward. And so, I am just alerting you.

 

두가지 치료제는 질병이 수조에 번지는것을 막는데도 효과적이다. Clout 는 물고기를 위해 개발된 매우 독한 약재이다. Metronidazole 를 비롯한 다른 약재들은 대부분 사람에게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것들이다. 내 경험상으로는 Metronidazole 는 수조에 질병이 번지는 것은 막아주지만 이미 증상을 나타내고 있는 물고기는 치료하지 못하고, Clout 는 이미 감염된 물고기를 치료하는데도 어느정도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Clout 는 수조의 물을 파랗게 변하게 하고 수조안의 실리콘물질(에어호스등)을 얼룩지게 한다. 주의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접촉하는 모든 것을 오염시킬 것이다. Clout 은 내게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지만, 내 수조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궁금하다. 그래서 아직도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후엔 사기당한것 같은 기분이다(??) 그래서, 그냥 경고해 두는 것이다. (역주: 뒷부분은 실리콘등을 오염시키는 것에 관한 이야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Additional note: When using these or any other medications, it is a good idea not to turn on your hood lights while treating your fish. These two drugs don't have any active ingredients that are disabled by UV rays like many antibiotics, notwithstanding, the dark atmosphere will help your fish to relax and recuperate.

 

Metronidazole works better at elevated temperatures (e.g., 80°F), but aeration should be increased because the O2 content of water decreases with higher temperatures. Eleva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an be beneficial also because it increases the fish's metabolism and heightens its immune response, while also hastening the life cycle of the parasite, there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to cure the fish.

 

추가기록 : 위의 약재나 또다른 치료제를 사용할때도 물고기를 위하여 조명을 끄는 것이 좋은생각이다. 위의 약재들은 다수의 항생제들과 같이 UV 에 의해 약효가 없어지는 요소는 없지만, 어두운 분위기는 물고기가 편안해 하고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Metronidazole 는 높은온도(섭씨27도)에서 더 효과가 있지만, 온도를 올릴때는 수중의 산소 함유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에어레이션을 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온도를 올려주는 것은 물고기의 신진대사를 증진시키고 면역력을 높이는데도 도움을 주고, 기생충의 라이프 싸이클을 촉진시켜서 치료기간을 짧게 한다.

 

 

--------------------------------------------------------------------------------

 

휴... 두번째 번역을 끝내었네요.

역시나 짧은 영어실력때문에 아쉽습니다. ㅜㅜ;

 

이번엔 지난번역글에 잠시 나왔던 Malawi Bloat 라는 질병에 관한 내용인데요,

제가 잃었던 아세이 한마리도 이 질병이 아니었나 추측해봅니다.

항문주위에 붉은 반점 비슷한걸 관찰했었거든요.

 

그리고 가끔 이유없이 식욕을 잃은 말라위에 대한 질문글도 올라오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저 약들이 일반적인 쇼핑몰들에서 보지 못한것 같네요...

성분을 가지고 한번 찾아보아야 겠습니다.

Posted by 난치병
2010. 4. 24. 23:08

원본 : http://www.cichlid-forum.com/articles/haps_vs_mbuna.php


 

글쓴이 : Marc Elieson
작성일 : 2008. 7. 13
번역 : 난치병


 

This article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popular Lake Malawi Cichlid groups: the Mbuna (pronounced "um-boo-na") and the Haps.

 

이 글은 대중적인 말라위의 두 그룹: Umbuna, Haps 의 비교를 다룬다.

 

 

Lake Malawi contains a greater variety of indigenous species of Cichlid fishes than any other lake in the world. World Wildlife Fund researchers have identified over 500 species to date that are not found anywhere else in the world. That is more than all of the freshwater species found in all the waters of both Europe and North America. Among aquarists, the two most popular groups of these fishes are the Haps and the Mbuna.

 

말라위호수는 전세계 어느 호수보다 다양한 종류의 시클리드 종을 보유하고 있다. World Wildlife Fund 연구가들은 현재까지 세계의 다른곳에서 발견되지 않는 500종 이상을 식별했내었는데, 이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민물고기종을 통털은것 보다 많은 숫자이다. 이 종들중에 어류사육가들 사이에 가장 인기있는 그룹은 Haps 와 Mbuna 이다.

 

In this article we will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in an effort to help aquarists in their selection of tank mates. Before we do this, however, let’s take a quick look at Lake Malawi itself.

 

이 글에서는 두 그룹의 차이를 비교하여 사육가들이 자신의 수조에 맞는 어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그전에 말라위호수를 살짝 둘러보도록 하자

 

Lake Malawi's pH ranges from 7.8 to 8.6, with a total hardness of 4.0-6.0 dH. The reason for the variation is caused by the level of Carbon Dioxide dissolved in the water. In areas with turbulent water, where the water is better aerated, the pH is higher, while in calm bays, the level of dissolved Carbon Dioxide is higher; consequently, the pH is lower there. Surface temperature ranges from 76 to 85 degrees, while the temperature at lower levels of the lake remain at a constant 70 degrees. Carbonate hardness ranges from 6.0 to 8.0.

 

말라위호의 pH범위는 7.8~8.6 이고 경도(total hardness)는 4.0~6.0dH 이다. 이러한 변동은 CO2가 물에 녹은 양에 따른 것이다. 물이 격류하는 곳(더 탄산을 많이 함유한곳) 에서는 pH가 더 높고, 잔잔한 곳에서는 pH 가 낮다. 표면온도는 24.4~29.4 도(섭씨) 정도이며 더 하층부는 21도 정도이다. 탄산경도(carbonate hardness) 의 범위는 6.0~8.0이다.

 

 

About one third of the coast is rocky, which is home to the mbunas. The remaining shoreline is characterized by sandy beaches and bottoms. This is where most of the open-water Haps and peacocks dwell. A few Cichlid species inhabit the muddy and weed-strewn bottom where larger rivers flow into the lake. The shores of the lake are generally sandy. Lake Malawi is unusual in that it does not have tides or currents. Most fish are contained to 300 feet, because the water is stagnate below that point, and there is no oxygen.

 

호숫가의 1/3 정도는 바위가 많은 지형이고 음부나의 서식처이며 나머지는 모래해변과 bottoms(산기슭?)의 특징을 가지고 대부분의 Haps 와 Peacocks 가 사는 곳이다. 몇몇 시클리드종은 큰 강에서 호수로의 유입구쪽, 진흙과 잡초로 뒤덮인 바닥에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말라위 호숫가는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말라위호수는 드물게도 조수나 물의 흐름이 거의 없는 편이어서 물고기들은 대부분 300ft(약91m) 이내에 살고 있으며 그 아래쪽 물은 정체되어 있고 산소가 없다.


The Haps

 

Haps, for want of a better name, are basically a non-Mbuna flock that are informally called “Haps” because many of these fish once belonged to the broad genus Haplochromis Hilgendorf. There are a total of eighteen genera that belong to this informal group of Cichlids.

 

Haps 는 기본적으로 Mbuna 류에 속하지 않는 종류이며 이 종류의 많은 물고기들이 한때(?) 'Haplochromis Hilgendorf' 속(屬)에 속한적이 있기 때문에 줄여서 Haps 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Haps 라는 비공식적인 그룹에는 18속(屬)의 시클리드가 속해있다.
* division(문(門))class(강(綱))order(목(目))family(과(科))genus(속(屬))species(종(種))variety(변종(變種)

 

Most Haps are piscivores, which means they prey on small fish, particularly other small Cichlids. There are some exceptions to this generalization, however, but these will do well on a piscovore's diet nonetheless. Because of their dietary needs, and consequently, behavior, it’s not a good idea to house these predators with anything small enough to swallow.

 

대부분의 Haps 는 작은 물고기나, 다른 작은 시클리드를 먹이로 삼는다. 몇몇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이유로 이 육식동물들이 삼킬 수 있을만한 물고기들과 합사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

 

 

Most Haps are only moderately aggressive. They live away from the rocks and cruise the open water alone, and are seldom seen in groups. Haps have long, slender, almost torpedo-like bodies, which allows them to suddenly burst into speed. This suits their predatory behavior. Most of these fish are silver or gray when small, and the males become very brightly colored as they mature. Females typically remain without color.

 

대부분의 Haps 들은 적당히 공격적이다. 이들은 대부분 바위와 멀리 떨어진곳에서 홀로 수영하다가 드물게 그룹에 합류하기도 한다. Haps 는 순간적인 가속이 가능하도록, 길고 날씬하며 마치 어뢰와 같은 몸매를 가졌으며 이는 그들이 나타내는 육식성에 적합하다. 이들은 대부분 어릴때는 은색이나 회색이다가 숫놈은 커가면서 밝고 다양한 칼라를 가지게 되며 암놈은 커서도 칼라풀한 색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Haps have developed some very unique hunting adaptations, which makes them fun to watch. At least two of the Nimbochromis species (venustus and livingstoni) lure small fish within range by feigning death and lying motionless in the sand. Dimidiochromis compressiceps, whose name is derived from its compressed body, uses its extremely narrow body to its advantage in ambushing prey. It hunts with its head angled downward, and its narrow body outline toward its prey so as to minimize its visibility. The Copadichromis species, also known as "Utaka," are zooplankton eaters and have developed a protrusible mouth that shoots forward to form a tube. This causes negative pressure in the mouth, which pulls the plankton in, like a vacuum.

 

Haps 는 재미있고 독특한 사냥습관을 가지고 있다. Nimbochromis 종의 두 종(venustus & livingstoni) 는 작은 물고기가 사냥거리 안에 들어올때까지 모래속에서 죽은척하고 있다. 매우 간결한 바디라인에서 이름이 유래한 Dimidiochromis compressiceps 는 먹이를 습격하기 위해 매복하는데 유리하도록 호리호리한 몸매를 지니고 있다. 이들은 먹잇감에게 최소한 노출되도록 머리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고 얇은 몸통부를 먹이쪽으로 향하고 있다가 사냥을 한다. Utaka 라고 알려진 Copadichromis종은 입모양을 튜브모양으로 만들어 마치 버큠과같이 압력을 만들어 동물성플라크톤을 먹는다.

 

The chart below presents some general information that is needed when considering which of these species to house in your aquarium. Large Haps should not be kept in anything less than 75 gallons, and extra-large should have at least 100 gallons to explore. Medium-sized Haps can handle 55+, with the exception of S. fryerei, which is extremely aggressive. This fish should not be kept in anything less than 75 gallons.

 

아래 차트는 당신의 수조에 합사 관련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대형 Haps는 75gallons(284L) 이하의 수조에 가두어서는 안되며, 초대형 Haps 는 100 gallons(379L) 이상의 수조가 필요하다. 중형 Haps 는 55gallons(208L)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다. 소형그룹에서 예외적으로 fryerei 는 매우 공격적이어서 75gallons(284L)이상의 수조가 필요하다.

 

 

Haps are polygamous mouthbrooders, which means that dominant males maintain harems of females. They exhibit no parental care; after spawning, the male moves on to find another female. Females will incubate fertilized eggs in their mouths until the fry are completely developed, at which time they spit the fry into the rocks where they fend for themselves. For mouthbrooders, Haps have much larger broods. D. compressiceps, for example, has broods numbering 250!

 

Haps 는 일부다처제의 마우스브리더이며 우세한 숫컷이 여러 암컷을 거느리고 하렘을 형성한다. 이들은 산란후 새끼들을 돌보지 않으며, 다른 암넘을 찾아 이동한다. 암놈은 치어가 완전히 형성될때까지 입에 물고 있다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바위사이에 새끼를 배앝는다. Haps 는 매우 많은 알들을 품는데 예를 들어 D. compressiceps 의 경우에는
250개의 알을 품는다.

 

A reminder: these are warm-water fish and so their water should be maintained between 76 and 82 degrees F, with a pH between 7.8 and 8.6.

 

Haps 는 열대어이고, 온도는 24도 ~ 28도, pH 7.8~8.6 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GENUS 크기 식성 공격성향
     Aristochromis L 육식성 3
     Buccochromis XL 육식성 3
     Champsochromis XL 육식성 2
     Chilotilapia ML 잡식성 2
     Copadichromis M Plankton 5
     Cyrtocara L Micro-육식성 4
     Dimidiochromis L 육식성 5
     Exochochromis XL 육식성 4
     Fossorochromis L Micro-육식성 2
     Maravichomis ML 잡식성 2
     Nimbochromis L 육식성 1
     Nyassachromis S 육식성 5
     Otopharynx S Micro-육식성 5
     Placidochromis ML Micro-육식성 4
     Protomelas ML Micro-육식성 3
     Sciaenochromis ML 육식성 3
     Taeniochromis L 육식성 2
     Tyrannochromis L 육식성 2

공격성향 : 1 은 매우 공격적인 타입이며, 5는 매우 평화적인 타입이다.


The Umbuna

 

The “Mbuna” (i.e., rock-dwelling fish) are a large group of Cichlids that live among large piles of rocks along the shoreline. They are usually seen in large groups, but are by no means a schooling fish. In some areas of Lake Malawi, 20 fish per square meter is not uncommon. Mbunas are known for their very colorful patterns and short stocky bodies.

 

Mbuna (예:바위에 서식하는 물고기) 는 해안가를 따라 거대한 바위더미들 사이에 사는 시클리드의 큰 그룹을 말한다. 그들은 큰 그룹에서 발견되지만 군집성 어류는 아니다. 말라위호의 몇몇 지역들에서는 평방미터당 20마리정도가 흔하게 발견된다. Mbuna 는 매우 칼라풀한 패턴과 땅딸막한 몸뚱이로 유명하다.

 

In contrast to Haps, both sexes of the more than 100 species of Mbuna are unusually colorful, whereas typically, only a single dominant male of a species displays any color. Mbuna are smaller and tend to have flat faces, which enables them to better scrape algae from rocks. They display colorful, bright patterns of horizontal stripes or vertical bars. The smaller mbuna species will grow to a maximum of about 3", and the largest species will grow to about 8", but most Mbunas grow to be between 4" and 5" long.

 

Haps 와는 달리 100여종 이상의 Mbuna는 암수 모두 칼라풀한 색상을 나타내지만, 한마라의 우월한 숫놈이 전형적인 색상을 띄게된다. Mbuna는 작고 펴영한 얼굴을 가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그들이 바위의 녹조를 긁어먹는데 도움을 준다. 이들은 칼라풀하고 밝은 수평 또는 수직 라인 패턴을 가치다. 작은 mbuna종은 3인치(7.6cm) 정도 까지 자라며, 큰 종들은 8인치(20cm)까지도 자라지만 대부분의 종들은 4~5인치(10~13cm) 정도까지 커진다.

 

 

They often begin breeding after they’re a year old and have grown to about 3". Males tend to get a little larger than females and often display slightly brighter colors. Mbunas’ have a life span of between 7 and 10 years

 

이들은 보통 1년정도 키우면 3인치(7.6cm)정도 자란다. 숫놈은 암놈보다 크고 더 밝은 색을 띄는 경향이 있다. Mbuna 는 7~10년정도의 수명을 가진다.

 

Mbuna, on the whole, are a lot more aggressive than Haps. Although aggressive, they do have a distinct social structure. The aggression is most often directed toward con-specifics (i.e., fish with a similar look). Because a certain fish appears similar, whether it be body shape or coloring, this fish is seen as a threat for food and mating. If the fish is of the same species or closely related, it will then compete for the same types of food or reproduce with the same females.

 

Mbuna 는 대체적으로 Haps 보다 매우 공격적이다. 공격적이기는 하지만 매우 뚜렷한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다. 공격성은 대부분 특정종을 향한 것이다(예를들어 비슷한 모양새를 한 물고기) 어떤 물고기들은 비슷한 몸의 모양이나 색상이 비슷하게 보여서 이들에겐 같거나 비슷한 종은 비슷한 형태의 먹이에 경쟁해야 하고 같은 암놈과 번식을 해야 하기 때문에 먹이나 짝짓기를 위협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dominant male will display the brightest colors, and will usually not permit subdominant males to mate with any females of the same species in the tank. In certain species, less dominant males actually acquire female coloration in order to avoid confrontations with the dominant male. In all-female groups, many times a dominant female will acquire male coloration.

 

우월한 숫놈은 밝은 색을 나타내고, 수조의 다른 우월한 숫놈들이 어떠한 암놈과도 짝짓기를 못하도록 막는다. 어떤 덜 우월한 숫놈들은 우월한 놈과의 대결을 피하기 위해 암놈의 색상의 띄는 경우도 있다.

 

There are ways to ameliorate this aggression. Periodic small feedings can help curb aggression in Mbuna. Crowding is another trick all Mbuna-keepers employ. While it does not directly put an end to aggression, it does ease its effects. With more tank mates, the aggression of a dominant male is distributed among several fish, not just one or two. It is important to have at least a 2 to 1 ratio of females to males. A long tank with lots of hiding places gives subdominant fish a chance to get away. If you crowd your tank, as I recommend, it will be imperative that you "over-filter" your tank, providing heavy biological filtration, lots of water movement, and frequent water changes.

 

이러한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방법들이 있다. 주기적으로 조금씩 먹이를 주는 것은 Mbuna 의 공격성을 억제한다. 과밀은 Mbuna 사육자들이 선택하는 또다른 방법으로 바로 효과가 나타나는것은 아니지만 공격성이 수조안의 한두마리가 아닌 몇몇에게 분산되어 효과를 발휘한다. 적어도 숫놈 하나에 암놈 둘 이상의 비율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수조가 길고 숨을곳이 많으면 덜 우월한 놈들에게 도망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수조의 여과력을 과할정도로 하도록 하고, 생물학적 여과를 증가시키고, 물의 흐름을 많게 하고 물을 자주 환수해줄 것을 권한다.

 

Another technique is to avoid putting together fish with similar coloring. I have found that a more dominant male of one species will domineer the male of another similarly-colored species to such a point that he will never spawn

 

또다른 권장사항은 비슷한 색상을 가진 물고기를 피하는 것이다. 한 종의 우월한 숫놈은 다른 유사종의 숫놈에게 권세를 부려서 산란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다.

 

Mbuna have proven themselves to be among the easiest of aquarium fish to breed. They, like Haps, are polygamous mouthbrooders. Males will dig a nest in the sand or gravel, to where they attract a willing female. The male will quiver violently in front of the female, which induces her to drop the eggs on the substrate. As she goes to pick them up, the male will fertilize the eggs with his milt. Females “hold” the eggs for a period of 21-31 days, during which they eat very little to nothing. Consequently, they can get very weak; therefore, it is often a good idea to separate “holding” females from the rest of the pack. Broods usually consist of 12-28 fry, depending upon the size of the female. In general, mouthbrooders lay far fewer eggs than substrate spawners because of the size of their mouths compared to the limitless space of a nest. However, for some reason, the mouthbrooders’ eggs are typically larger than those of the substrate spawners.

 

Haps 와 마찬가지로 입에알을 물어 부화시키는 Mbuna 는 수조에서 번식시키기 쉬운 종으로 증명되었다. 숫놈은 산란처의 모래나 자갈을 파서 암놈을 유인한다. 숫놈은 몸을 격하게 흔들어 암놈이 알을 떨어뜨리도록 하고, 암놈이 알을 입에 물때 수정시킨다. 암놈이 알을 물고 있는 기간은 21~31일 정도이며 이 기간동안 거의 먹이를 먹지 않아서 매우 약해지므로 암놈을 여분의 수조에 분리해주는 것도 좋은 생각이다. 암놈의 크기에 따라 치어는 12~18마리 정도가 된다. 마우스브리더의 입은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른 종류보다 적은수의 산란을 하는것이 일반적이지만 어떤 이유로 인해 마우스브리더의 알은 다른 종류에 비해 큰 편이다.

 

Mbuna are exclusively Herbivores (with the exception of Labidochromis(바나나)). They spend all day picking and scraping at the thick mat of algae that covers the rocky shoreline of Lake Malawi. This algae is their primary staple, which is supplemented with the insects and crustaceans that live in the algae. While Mbuna, officially, are vegetarians, they will eat almost anything that can fit in their mouths. Careful attention to their diet is required if you want to keep these fish healthy

 

Mbuna 는 Labidochromis(바나나) 를 제외하고는 초식성이며, 말라위호숫가를 따라 바위에 붙은 두꺼운 녹조류를 떼어내고 긁어내는 데에 하루의 대부분을 보낸다. 곤충과 갑각류가 붙어있는 녹조류는 이들의 주식이다. 공식적으로 Mbuna 는 채식성이며 입크기에 맞는것은 무엇이던 먹는다. 이 물고기를 건강하게 키우려면 식단에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digestional tracts of Mbuna are made for vegetable matter. They have long intestines designed to extract the proteins and carbohydrates from the hard-to-digest algae. Cows and other ungulates use several stomachs to digest grass. Mbuna, on the other hand, do it with only one stomach and a very long intestine. If you feed them too much animal protein (e.g., worms, shrimp, feeder fish), it will only be a matter of time before they develop an intestinal blockage, swell up, and die from the infamous Malawi Bloat.

 

이들의 긴창자는 소화하기 힘든 녹조류에서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추출하는데 적합하여, 채식성에 알맞게 만들어져 있다. 소와 다른 유제동물들은 풀을 소화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위를 가지고 있는데, Ubuna 는 하나의 위와 매우 긴 창자를 가지고 있다. 이들에게 너무 많은 동물성 단백질(예를들어 벌레, 새우, 물고기)을 공급하게 되면 창자가 막히고 부어올라 Malawi Bloat 로 죽게 만드는것은 시간문제이다.

 

While not all of the fishes of these two groups are compatabile, many can be successfully mixed if certain precautions are taken. The dietary needs of both can be usually be met with a quality staple pellet or flake. Additionally, Mbuna can be fed supplements that Haps will ignore. These include store-bought vegetables like zucchini, green peas, romaine lettuce, and spinach. These are best when smashed or sliced. Yellow squash is also a really good supplement because it will help bring out their red and yellow colors. Supplementing with vegetables will help to ensure that Mbuna get enough fiber and vegetable matter in their diet. And whatever you do, never feed these fish foods with lots of fat (e.g., black worms) and especially not fat from warm-blooded animals (e.g., beef heart).

 

이 두그룹은 몇몇 예방조건만 갖추어진다면 다수가 섞여서 화목하게 생활할 수 있다. 두종의 식단은 일반적으로 품질좋은 pellet 또는 flake 에서 만족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Mbuna 의 경우 주키니(오이비슷한 서양호박),녹색완두콩, 양상추, 그리고 시금치와 같은 Haps 는 먹지않는 것들을 부가적으로 급여할 수 있다. 급여시에는 잘게 부수거나 썰어주면 좋다. 노란호박은 그들의 빨간색, 노란색이 잘 드러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Mbuna 에게 섬유와 채소가 문제되지 않도록 채소를 급여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에게 지방(예:black worms)을 절대 과다공급하지 말아야 하고, 특히 온혈동물의 지방(예:염통)을 공급하여서는 안된다.

 

It's also important to keep in mind the natural habitat of your fishes. For example, there are many haps that stick to rocks and crevices while others cruise the open waters. Open-water haps may not thrive in a rock-filled aquarium as these fishes tend to grow larger and may feel cramped. Rocks can also be the means for repeated injuries in these fishes. On the other hand, some rock-bound haps should not be mixed with small mbuna as the former prey on the latter. Haps and Mbuna can be mixed; just understand the needs and tendencies of each and match them accordingly.

 

자신이 키우는 물고기들의 자연적인 습성을 유념해두는것 또한 중요하다. 예를들어 많은 haps 그룹의 물고기들은 바위나 틈사이에 붙어있는것을 좋아하며 다른 놈들은 열려진 공간에서 수영하는 것을 좋아한다. 열린 공간을 좋아하는 haps 들은 크게 자라며, 돌이 가득한 수조에서는 비좁게 느낄 수 있으며, 바위는 이런 종류의 물고기들에게 반복적으로 상처를 입힐 수 있다. 다른 바위틈을 좋아하는 haps 작은 mbuna 들과 합사하면 mbuna 는 그들의 먹이가 될 수 있다. umbuna 와 haps 는 둘의 요구와 각각의 경향을 이해하고, 조화롭게 어울리도록 하여 합사할 수 있다.

 

 

The Labidochromis(바나나) spp. really are an exception to the strictly-vegetables diet of the Mbuna. Their diet is primarily composed of plankton and benthic invertebrates such as snails, and only supplemented by plant matter. You may notice that their teeth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Mbuna, being more needle-like rather than spade-like. Notwithstanding, they really seem to enjoy Spirulina tablets.

 

Labidochromis(바나나) 종은 mbuna 의 채식성에서 예외인데, 주로 플라크톤과 달팽이와 같은 물저면의 무척추동물이 주먹이이며 식물은 단지 추가적인 식단이다. 이들의 치아는 다른 mbuna 들과는 다른데, 삽보다는 바늘모양에 가까운 치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pirulina tablets(사료이름인듯..) 를 정말 좋아하는것 같다.

 

The Melanochromis(다람위,조하니) spp. are also another exception. While they are primarily vegetarian, they also feed on the insects and crustaceans that live within the algae more so than other Mbuna. They have also been dubbed as opportunistic feeders.

 

Melanochromis(다람위,조하니) 종은 또 다른 하나의 예외로, 기본적으로 채식성이긴 하지만 다른 Mbuna들보다 녹조에붙은 벌레나 갑각류를 더 많이 섭취한다. 이들은 opportunistic feeders(편의주의적으로 먹이를 먹는..?) 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As a result of being vegetarians, Mbuna will eat most plants…and those they don’t eat quickly get dug up. If you want to try putting plants with Mbuna, there are a few species of plants that they don’t seem to like and that are well adapted to their alkaline water. These include Java Fern, Vallisneria sp., and the Anubias family: A. barteri, A. congicus, A. gigante, A. gracilis, A. heterophylla, and A. nana.

 

채식성때문에 Mbuna 는 대부분의 식물을 먹는다. Mbuna 와 함께 식물을 장식하려면 Java Fern(미크로소리움 프테로푸스), Vallisneria 종(발리스네리아), Anubias과 (A. barteri, A. congicus, A. gigante, A. gracilis, A. heterophylla, and A. nana-나나) 등, 그들이 좋아하지 않고 알칼리성 물에 적합한 식물이 몇몇 있다.

 

Mbuna, likes Haps, are warm-water fish and therefore require water between 76 and 82 degrees F, with a pH between 7.8 and 8.6. If done properly, these fish should also be kept in an aquarium no smaller than 60 gallons.

 

Mbuna 는 Haps 와 마찬가지로 열대어이며 온도는 24도 ~ 28도, pH 7.8~8.6 을 필요로 한다. 제대로 키우려면 60갤론이상의 수조가 필요하다.

 

GENUS 크기 식성 공격성향
     Cyahtochromis ML 채식성 3
     Cynotilapia S 잡식성 1-4
     Genyochromis M Piscovore 1
     Gephyrochromis ML 채식성 2
     Iodotropheus M 잡식성 5
     Labeotropheus L 채식성 2
     Labidochromis(바나나) M 잡식성 4
     Metriaclima ML 채식성 2
     Melanochromis(다람위,조하니) ML 채식성 2
     Petrotilapia L 채식성 2
     Pseudotropheus(블루,아이스블루,레드제브라,백설) ML 채식성 2

공격성향 : 1 은 매우 공격적인 타입이며, 5는 매우 평화적인 타입이다.

 

오랜만에 번역이란걸 해봤다. 아무래도 엉망인듯...

Posted by 난치병